티스토리 뷰

반응형

바야흐로 인터넷 방송의 시대입니다.

인기있는 개인이 진행하는 인터넷 스트리밍 방송의 영향력은 왠만한 연예인들 못지않을 만큼 크고 선풍적입니다.

 

이처럼 사람이 모이는 곳에는 언제나 새로운 문화가 생겨나게 되고,

그러한 새로운 문화를 가장 대표적으로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신조어'들 인데요.

 

오늘 알려드릴 "트수" 또한 이러한 인터넷 스트리밍 방송 문화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신조어 중 하나입니다.

 

 

 

# 트수 뜻 

 

- 트수라는 단어를 알기 위해서는 팟수에 대해 먼저 알아야합니다.

 

트수는 팟수에서 변형된 단어로 

 

먼저 팟수란,

 

다음 tv 팟이 유행하던 시절 다음tv팟의 "팟" + 백수의 "수"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실제 백수를 의미한다기 보다는 백수처럼 다음tv팟에 빠져있는 시청자를 의미하는 

일종의 자학적인 특성을 담은 단어입니다.

 

초기 트위치tv의 주력 방송인들이 대부분 다음tv팟에서 넘어오며, 시청자들 또한 좋아하는 방송인들을 따라 트위치로 넘어오게 되었습니다.

이 때, 다음tv팟의 밈들이 트위치로 넘어오며 변형되어 트위치의 시청자들을 지칭하는 말이 팟수의 변형인 "트수"가 된 것입니다.

 

 

- 트수 = ""위치 tv + 백"

 

 

 

 

# 트수의 또다른 뜻

 

- 트수라는 단어가 일종의 자학적인 성향을 띈다고 앞서 설명드린 바가 있습니다.

하지만 소수의 사람들은 "트수"라는 단어를 긍정적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트위치는 미국 아마존 트위치사의 인터넷 방송 중계서비스로 전세계 최대의 인터넷 방송 플랫폼입니다.

한달 평균 약 9억명이라는 어마어마한 숫자의 인구가 시청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트위치코리아'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많은 시청자들이 트위치에서 인터넷방송을 보고, 도네이션(방송인들에게 후원 또는 기부하는 행위를 의미함)하고 트위치를 많이 사용하다보니 '트위치코리아'입장에서는 트수들이 사랑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트수들에게 트위치코리아는 애정을 듬뿍담아 "트수트위치수호자에 준말이다"라고 표현한 적이 있습니다.

 

- 트수 = "트"위치 + "수"호자

 

하지만 정작 재밌는 것은 트수들조차 하나의 드립으로 여기며, 아주 가끔 트수들이 트위치와 관련된 커뮤니티에서 드립을 할 때 사용되고 있습니다.

 

 

 

# 그밖의 신조어

 

- 다들 아시다시피 인터넷 방송 플랫폼은 트위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심지어 전세계적으로는 트위치가 최대의 방송플랫폼이라고는 하지만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아프리카TV에 한참 못미치는 사용자 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유튜브에서 라이브방송이 가능하여 많은 방송인들과 시청자들이 대거 유튜브로 이동하기도 하였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는 새로운 문화와 신조어가 생겨나기 마련입니다.

트수 외에 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인터넷방송과 관련된 몇가지의 신조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유하 + "유"튜브 + "하"

 

유튜브 시청자들에게 방송인들이 인사를 건낼때 '유튜브 시청자들 하이' 라는 말이 줄여져 만들어진 신조어.

 

- 도네 = "도네"이션(Donation)

 

인터넷방송 시청자들이 방송인들에게 후원 또는 기부를 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말로 트위치 방송인들의 주된 수입원이기도 함.

 

 

최근에는 1인 미디어 컨텐츠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인터넷 방송을 남녀노소 구분없이 즐겨보고 있습니다.

신조어가 좋다,나쁘다를 떠나서 함께 방송을 보고 실시간 채팅을 사용하는 시대를 살아가면서

모두가 쓰는 단어에 대해 나만 모른다는 소외감과 세대차이를 굳이 느낄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문화가 바뀌고 사용하는 말이 바뀌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트수, 유하, 도네 등 인터넷 방송 신조어를 나쁘게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하나의 새로운 문화로 받아들이고 즐기는것도 

좋은 현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댓글